용어 정의 도덕: 관습적인 그 뜻과 같음, 의무를 내포미덕: 도덕에서 의무를 제외한 것비도덕: 관습적인 뜻과 달리, 도덕적 가치에 대해 중립적임을 뜻함; 이 편이 문자적 의미를 충실히 따른다악덕: '비도덕'의 관습적 뜻과 같음 나는 도덕적 허영을 싫어한다. 내가 말하는 도덕적 허영은 관습적인 의미의 도덕적 허영과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도덕적 허영이란 1. 도덕적인 인간이 되고자 함, 스스로를 도덕적으로 간주함2. 도덕을 행함 1은 만족하나 2는 만족하지 않을 때를 말한다. 내가 말하는 도덕적 허영은 1만을 뜻한다. 2는 관계없다. 2를 만족하든, 만족하지 않든, 1만 만족하면 도덕적 허영이다. 이하 이 뜻으로만 사용한다. '도덕적 허영' 대신 '도덕 추구'라는 용어를 선택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
User "Judgemental" is one of the most misused words. How could a person not make a judgment? It's the freedom on the speaker's part to make a judgment or delay it until getting more information. They blame others for being judgmental only when the judgment is negative. They never criticize when the judgment is positive. They say it is wrong to judge from only superficial information, but conside..
User One of the things I have observed in arguments between people is that each party tries to make the opponents' claim as extreme as possible and make their claim as moderate as possible. I see this as an example of the fallacy of attacking the straw man in a soft sense. Let me give you an example. Suppose that I want to claim hard work is more important than talent. I may say "Your claim that..
When I'm arguing with you, you often say "That's an oversimplification. It is important to approach this with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its complex nature." What I feel is that you are attempting intellectual acrobatics for a case with a simple nature. Why do you prefer complexities over simplicities? Occam's razor dictates simplicity is better. I'm not asking aboug a specific case. I'm as..
When it comes to imposter syndrome, most people approach the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therapy. The solution they could think of is to develop confidence in the person himself so that he could feel good about himself. However, my perspective is different. The traditional approach may solve the problem, for, say, 50 percent of the people, but it will exacerbate the symptoms for th..
음식을 먹으면 따뜻해진다. 예전에 어떤 사람이 극한의 추위상황에서 조난당했을때 마침 가지고 있던 초콜렛을 마구마구 먹어서 체온을 유지해서 구조가 올때까지 버텨서 구조당했다는 내용을 테레비에서 본 적이 있다. 그러고보니 그 때는 테레비를 보면서 시간을 낭비했었다. 아니 지금은 유튜브 보면서 시간 낭비하는건가? 유튜브는 테레비보다 재미있으므로 시간 낭비가 아니다. 시간 낭비하고 말고가 뭐가 중요해 성공에는 그런것보다는 머리좋고 성실한 것이 더 중요하다. 초콜렛 먹어서 따뜻해지나? 따뜻한 음식을 먹어야 따뜻해지는 것 같던데-- 그건 음식에 내장된 화학적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된 것이 아니라 그냥 따뜻한 음식의 열 에너지가 몸으로 전해졌을 뿐인가? 음식을 먹어서 체온을 유지하는 것과 난방을 해서 체온을 유지..
위생은 기본적으로 인구가 밀집된 도시 문명에서 질병의 전파를 막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현대 선진국 주민들의 개인 위생관념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다소 과하다. 예를 들자면 매일 씻지 않아도 된다 옷은 한 달에 한 번만 빨아도 된다 타인과 칫솔을 공유해도 된다 설거지할 때나 빨래할 때 세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남이 먹던 음식을 먹어도 된다 물론 (of course) 잘못된 위생의 파급력이 매우 큰 식당이나 식품공장에서는 위생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곳에서는 개인위생과 달리 위생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 *** 이러한 점으로부터 나는 위생을 남들보다 덜 신경쓰게 되었다. 그 일환으로 바닥에 떨어진 삼겹살을 구워먹었다 쓰레기통 옆에 누가 버린 치킨박스에 남은 치킨을 먹었다 편의점 테이블에 누가 먹다 남..
계획을 하는 것은 즐겁다. *** 운동을 하는 것보다는 운동 계획을 세우는 일이 즐겁다. 운동은 힘들고 지루하다. 책을 읽는 것보다는 독서 계획을 세우는 일이 즐겁다. 좋은 책을 고를 때면 느낌이 좋다. 그러나 독서 자체는 어렵고 지루하다. 고전은 특히 더 지루하다. (만화나 웹소설은 전형적인 독서가 아닌 것 같으므로 논외로 한다. 무엇이든 전형적인 것이 중요한 법이다. 나는 언어의 남용을 싫어한다. 그저 그럴듯한 것 같고 자기 감성에 맞으면 무엇이든 옹호하는 병신새끼들과는 달리 -- 예를 들어 신문방송학과 -- 나는 논리에 신경쓴다. 아마도.) 공부를 하는 것보다는 공부 계획을 세우는 일이 즐겁다. 유튜브 동기부여동화, 학습법 동화 따위들은 특히 재미있다. 수험 공부도, 영어 공부도, 전공 공부도, 모..
vscode 정말 최고다
아싸 코스프레는 사실 이유가 있다. 예전에 "도둑맞은 아싸" 라고 인싸들이 아싸 코스프레 하면서 브이로그 하는 걸 욕하는 인터넷 밈이 유행했었는데 그게 사실 이유가 있다. 존나 재밌기 때문이다. 사실 나도 인싸지만 항상 아싸 코스프레를 한다. 나는 아싸 코스프레 하는 인싸들 다 이해한다. 진짜 아싸에 대한 우월감도 느껴지고, 아싸라고 하니까 뭔가 친근한 느낌이고, 하여튼 존나 재밌다. 비슷한 계열로 흙수저 코스프레, 앰창인생 코스프레, 인성 쓰레기 코스프레, 어그로꾼 코스프레, 씹덕 코스프레 등이 있다. 다 내가 맨날 하는거다. 진짜 재미있다. 예전에 이라는 만화를 봤었는데, 최근 근황을 보니 의대갔다고 한다. 하여튼 저 만화는 예전부터 여러가지로 기만자 기질이 많았다. 작가가 "그건 아싸가 아니라 정신..